반응형

'산업적 측면으로서의 공연예술과 시장규모'

  공연예술의 산업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우, 예술작품이 더 이상 예술작품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복제되거나 대량생산되어 유통되는 것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하는 연관산업까지 크게 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며 중요시 한다. 이는 자연스럽게 예술의 경제적 기능에 눈길을 돌리게한다.
  예술은 직접적으로는 고용과 생산활동의 경제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관광이나 컨퍼런스 산업 등 관련산업과 국가나 지역의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한편 1999년에 제정된 우리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은 문화산업을 '문화상품의 생산, 유통, 소비와 관련된 산업' 이라고 정의하고 문화상품은 '예술성, 오락성, 대중성 등의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형, 무형의 재화와 서비스 및 이들의 복합체' 라고 정의하고 있다.

  서비스산업은 제조업과 대칭되는 용어로 무형의 상품 거래를 통해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는 산업분야이다. 호텔이나 오락, 전력, 수송, 금융, 정보, 통신서비스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서비스의 기본적 특성으로는 무형성, 이질성, 생산과 소비의 동시성, 소멸성 등 네 가지를 드는데 공연예술상품의 특성과 잘 어울린다.
  공연예술은 전형적인 무형의 상품이다. 일부 유형적인 요소들, 예를 들어 극장이나 극장시설, 무대장치와 배우, 의상 등을 몸으로 직접 체험하거나 만질 수 있지만 실제 관객에게 제공되는 것은 이들이 모아져서 만드는 무형의 공연이라는 상품이다. 공연을 보는 것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한 지극히 주관적인 소비 행위이다.
  같은 극장에서 같은 스태프와 같은 캐스팅으로 공연한다고 해도 각각의 공연은 다르다. 출연자들의 컨디션이나 극장의 상태, 설비의 가동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어떤 관객들이 어떤 목적으로 왔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방학숙제를 하기 위해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과 감동받기 위해 관람하는 관객에게 공연물은 달리 작용한다. 똑같은 관객은 존재하지 않는다. 혹시 물리적으로 같은 관객이 같은 공연을 같은 극장에서 관람한다 해도 이전과 같은 공연은 아니다.
  공연은 반드시 무대와 객석이 있는 극장(또는 극장 기능을 하는 공간)이라는 공간에서 공연되며 공연행위와 관극행위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관객은 공연 현장에 존재하며 공연에 직접 참여한다. 관객들 사이에서도 관극에 영향을 준다. 유료관객이 많은 공연은 초대관객이 많은 공연보다 관극분위기가 좋다.
  공연이 일단 시작되면 빈 좌석은 더 이상 판매할 수 없다. 공연 후에 공연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관객이 항의하더라도 그 공연과 극 행위를 물리거나 입장권을 다른 관객에게 되팔 수 없다. 공연자 측의 명확한 실수 때문에 환불 할 수 는 있지만 이 경우에도 관객의 관극 행위를 물리거나 되팔 수는 없는 것이다.

  공연예술의 시장규모는 측정하는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공연 시장에서의 공연상품의 매출규모와 공연예술에 투입되는 규모 즉 비용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공연예술이 비용보다는 수입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산업분야가 매출규모 안에 모든 비용과 이익이 포함되는 것과는 정반대이다. 비용과 매출의 차이는 대부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 등 공공지원금과 민간기부금으로 충당된다.
  공연상품의 매출은 공연의 입장권을 팔아서 올리는 입장 수입을 중심으로 협찬수입, 광고수입, 기타 상품 판매수입 등으로 이루어진다.

  공연예술분야를 전망 좋은 분야로 알고 몸을 던지려고 하는 젊은이들에게는 매우 실망스러운 수치가 아닐 수 없다.
  문화산업은 미래산업의 대표적인 분야의 하나로 손꼽힌다. 그런데 막상 그 시장을 들여다보니 시장규모는 너무나 초라하다. 연극계, 무용계, 음악계 등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중요한 바탕과 기둥을 이루고 있는 공연분야의 전문가들이 힘을 모아 작업한 결실을 재화로 환산한 수치는 허무할 정도이다. 옛부터 '배고픈 직업' 이라고 불리운 것이 나눠먹기에는 너무 작은 파이에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물론 공연예술은 공연시장의 매출로만 지탱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문화산업 또는 공연상품이라고 한다면 시장의 법칙에 따라야 할 것이다. 공연상품에는 소비자의 드러나지 않은 문화적 갈증을 모아 극장으로 끌어들이려는 획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공연계가 튼튼한 재생산구조를 갖추는데는 시장규모의 확대가 절실한 것이다.

-발췌, 극장경영과 공연제작 이승엽 저

반응형
반응형

'[정보공유]도봉구 도전숙, 문화예술인마을5차 (수요자맞춤형 매입임대) 입주자 추가 모집공고(SH/11.19)'

신청기간: 2021.11.24~2021.12.07
대상: 청년창업인
위치: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 625-35외 2필지
공급호수: 총3세대
임대기간: 2년(최대 6년)


도봉구「문화예술인마을 5차」입주자 추가모집 공고문(2021_11_19_).pdf
1.96MB
도봉구「문화예술인마을 5차」입주자 추가모집 공고문(2021_11_19_).pdf
1.96MB
반응형
반응형

'[음악용어]셈 여림(Dynamics) -영어'

1)기본 용어
very soft 아주 여리게
soft 여리게
moderately soft 조금 여리게
moderately loud 조금 세게
loud 세게
very loud 아주 세게

2)셈 여림의 변화가 있는 것
growing louder 점점세게
growing softer 점점여리게

반응형
반응형

'[음악용어]셈 여림(Dynamics) -이탈리아어'

1)기본 용어
pianissimo(pp) 아주 여리게
piano(p) 여리게
mezzo piano(mp) 조금 여리게
mezzo forte(mf) 조금 세게
forte(f) 세게
fortissimo(ff) 아주 세게

ppp(pianississimo), fff(fortississimo)도 극단의 여림과 셈에 사용되며, pppp,ffff도 일부 작곡가들이 극단의 셈 여림표로 사용하고 있다.

2)셈 여림의 변화가 있는 것
crescendo(cresc.) 점점세게
decrescendo(decres.) 점점여리게
diminuendo(dim.) 점점여리게

3)그 밖의 용어
>(accento) 그 음만 특히 세게
sf, sfz(sforzato, sforzando) 그 음만 특히 세게
fz(forzato, forzando) 그 음만 특히 세게
rinf, rfz, rf(rinforzando) 그 음만 특히 세게
fp(forte piano) 세게 그리고 곧 여리게
pf(piano forte) 여리게 그리고 곧 세게
subito p 갑자기 여리게
sempre f 항상 세게
piu f 더욱 세게
molto cresc. 더욱 점점 세게
mezza voce 성량을 반으로, 여린 소리로
sotto voce 소리를 엷게 줄여서 부드럽게


반응형
반응형

'[음악용어]빠르기를 변화시키는 말 -프랑스어'

1)빠르기를 더하는 말
accelérér 점점 빠르게
en pressant 점점 빠르게
peu à peu animé 조금씩 점점 빠르게
pius animé 더욱 빠르게

2)빠르기를 늦추는 말
ralentissant 점점 느리게
retenu 빠르기를 억제해서
moins vite 빠르기를 늦추어서
plus adagio 더욱 Adagio로
élargissant 느려지면서 점점 세게
en mourant 사라지듯이
en s'effaçant 사라지듯이
en diminuant 점점 평온하게

3)빠르기를 자유롭게 하는 말
à volonté 연주자의 마음대로
libre 연주자의 마음대로

4)본디 빠르기로 돌아가게 하는 말
reprend le mouvement précédent 본디 빠르기로
premier tempo 처음 부분의 빠르기로

5)그 밖의 빠르기 말
sans mesure 자유로운 빠르기로
le même mouvement 같은 빠르기로
tempo exact 정확한 빠르기로

반응형
반응형

Le papillon et la fleur
lə papijõ e la flœʀ

La pauvre fleur disait au papillon céleste: Ne fuis pas!
la  povʀə flœʀ dizε -t-o papijõ selεstə nə fɥi pa
Vois comme nos destins sont différents,
vwa kɔmə no dεstɛ̃ sõ diferã
Je reste Tu t’en vas!
ʒə ʀεstə ty tã va
Pourtant nous nous aimons,
puʀtã nu nu -z-εmõ
Nous vivons sans les hommes, Et loin d’eux!
nu vivõ sã le -z-ɔmə e lwɛ̃ dø
Et nous nous ressemblons
e nu nu ʀəsãblõ
Et l’on dit que nous sommes fleurs tous deux!
e lõ di kə nu sɔmə flœʀ tu dø
Mais hélas, l’air t’emporte et la terre m’enchaîne,
mε -z-elas lεʀ tãpɔʀt e la tεʀə mãʃεnə
Sort cruel!
sɔʀ kʀyεl
Je voudrais embaumer ton vol de mon haleine,
ʒə vudʀε -z-ãbome tõ vɔl də mõ alεnə
Dans le ciel!
dã lə sjεl
Mais non, tu vas trop loin, parmi des fleurs sans nombre,
mε nõ ty va tʀo lwɛ̃ paʀmi de flœʀ sã nõbʀə
Vous fuyez!
vu fɥije
Et moi je reste seul à voir tourner mon ombre A mes pieds!
e mwa ʒə ʀεstə sœl a vwaʀ tuʀne mõ -n-õbʀə a me pje
Tu fuis, puis tu reviens,
ty fɥi pɥi ty ʀəvjɛ̃
Puis tu t’en vas encore Luire ailleurs!
pɥi ty tã va -z-ãkɔʀə lɥiʀ ajœʀ
Aussi me trouves-tu tujours à chaque aurore Tout en pleurs!
osi mə tʀuvə ty tuʒuʀ a ʃak oʀɔʀə tu -t-ã plœʀ
Ah! pour que notre amour coule des jours fidèles,
a puʀ kə nɔtʀ amuʀ kulə de ʒuʀ fidεlə
O mon roi!
o mõ rwa
Prends comme moi racine
pʀã kɔmə mwa ʀasinə
Ou donne-moi des ailes comme à toi!
u dɔnə mwa de -z-εlə kɔm a twa

나비와 꽃

가엾은 꽃이 하늘을 나는 나비에게 말했다. 떠나지 말아다오!
우리의 운명이 서로 다은 것 처럼
나는 남아있고 너는 가버리고!
우리는 서로 사랑하기 때문에
우리는 사람들 없이, 그들과 멀리 떨어져서 살아간다.
그리고 우리는 서로 닮았다.
사람들은 우리가 둘 다 꽃이라고 말한다.
아! 그러나 바람이 너를 실어가고 땅은 나를 붙잡고 있는
가혹한 운명이여!
나의 숨결로 당신의 날개를 향기롭게 하고 싶다.
하늘에서
그러나 너는 아주 멀리 가버린다. 셀 수 없이 많은 꽃들 사이로
달아나 버리네!
나는 홀로 남아 나의 발 아래 맴도는 나의 그림자를 바라본다.
너는 달아났다가는 다시 돌아오고
또 다시 다른 곳으로 빛을 발하며 가버린다.
또한 너는 매일 새벽마다 눈물이 가득고인 나를 찾아온다.
아! 우리의 사랑이 신실하게 흘러가도록
오 나의 왕이시여!
나에게처럼 뿌리를 주시든지
너에게처럼 내게 날개를 주시든지

반응형
반응형

'공연 예술에 공공지원이 필요한 이유'

  오늘날 공연예술(연극, 오페라, 음악, 무용 등)은 생산성 지체 등으로 재정적 문제를 맞고 있다. 해답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공공지원이 그 중 강력한 해결책으로 제시된다.

  공연예술은 언뜻 많은 대체재를 가진 것 처럼 보이고 그래서 공연상품이 가격에 대해서 매우 탄력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공연예술에 대한 기호는 후천적으로 개발, 교육되는 것으로 다른 것으로 쉽게 대체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장료를 낮춘다고 해도 관람객들이 폭발적으로 늘지 않는다. 공연예술의 수요는 가격에 대해 비탄력적이라는 것이다.
  소비자 수요 탄력성의 가장 큰 변수는 바로 '공연의 질적 변화' 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진다. 즉 가격이나 소득의 변화에도 수요는 크게 동요하지 않지만 공연의 질의 변화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공연예술의 상대적 생산성 지연 또는 중단은 상대적으로 비용을 증대시키고 이를 그대로 입장료에 반영한다면 입장료는 다른 부문에 비해 훨씬 빨리 상승할 것이가. 이는 시민들의 공연예술 접근에 대한 장애로 작용할 것이고, 공공재인 공연예술로서는 견디기 어려운 지경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입장권 가격을 증가된 경비만큼 올리지 못한다면 공연단체는 비용을 줄이려고 할 것이다. 즉 비용이 많이 드는 작품을 기피한다든지 필요한 제작인원과 출연자를 최소화 하려고 할 것이다.
  이처럼 필연적이지만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을 타파하기 위해 공공지원이나 민간기부가 필요한 것이다. 공연예술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발전하여야 하고 공공재로서 시민들의 접근을 막지 않기 위해서는 공공지원금과 기부금이 점점 커지는 비용과 수입격차를 메워주어야 한다.
  
  공연예술의 경우에는 진입장벽 등으로 인하여 소수의 거대 공연예술 단체가 고용, 관객, 수입 등을 지배하는 일종의 과점적 시장형태를 보여준다.

  공공재는 일반적으로 사적 편익과 함께 외부 편익을 가지는데 교육이 그 대표적인 경우 이다.  교육을 받는 사람은 당사자의 취업이나 신분 상승과 같은 사적인 편익을 얻지만 그 이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이득을 안겨준다. 즉 그 사람이 잘 교육되면 사회 질서와 발전에 기여하게 되므로 나머지 사회구성원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회가 교육에 투자하는 것은 전체 사회의 외부편익을 증대 시키는 것이다.
  예술은 이런 집단적인 외부 편익이 존재하는가 하는 것은 예술의 공공재로서의 특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문화경제학자들이 주장하는 외부 편익은
1.후세에 대한 유산
2.국가적 정체성과 위신
3.지역 경제에 대한 기여
4.자유로운 교육에대한 기여
5.예술참여자들의 사회적인 증진
6.예술의 혁신성
으로 정리가 된다.
  공연예술이 위에 열거한 외부편익을 가지는 것은 분명하다. 셰익스피어의 전통이나 베토벤의 전통은 후세에 대한 큰 유산이 되고 유명한 음악가를 가진 나라와 국민은 국가적 자긍심을 가질 수 있다. 공연 예술이 주는 지역 경제에 대한 기여는 이미 검증된 바이고, 공연 자체가 주는 교육적인 효능, 공연 관람으로 얻어지는 지적, 감성적 고양은 측정할 수는 없으나 존재한다고 믿는 부분이다. 예술의 혁신성이란 예술적인 실험은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 실패하기도 쉽지만 성공해도 그 성공을 독점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공연예술이 외부편익을 가진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띤다면 정부는 당연히 그 비용의 일부를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치안이나 교육 등 다른 분야의 외부편익보다 예술의 외부편익은 더욱 추상적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지원이 이루어져야하며 어느 정도를 생산하는 것이 좋울지 결정하기 어렵다.

  공연상품은 직접 소비하기 전에는, 즉 입장원을 구입하여 공연을 직접 보기 전에는 공연상품의 품질을 분별할 수 없는 경험재에 해당한다. 경험재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는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비대칭적인 정보에서 비롯된다. 생산자는 상품에대한 정보를 가지는 반면 소비자는 구입하기 전에는 품질에 대해 아무 정보도 가질 수 없거나 가진다 해도 매우 불완전하거나 선별된 정보만을 소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는
1.상품의 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 수집(텔레비전 광고 포스터, 전단 등 광고룰 통한 정보 보다는 전문가의 평이나 주위 사람의 입소문을 통해 진실에 가까운 정보를 수집)
2.과거의 소비경험을 이용한 상품 구매(자신이 극장에서 직접 만났던 공연의 주인공이나 주요 스태프는 다음 작품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따라서 과거 소비경험이 없는 신입자들일 경우 상대적으로 불리 할 수 밖에 없어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음. 공연예술에서 스타 탄생이 극적인 것은 그만큼 소비패턴이 보수적이기 때문. 규모가 큰 공연을 만들면서 스타를 캐스팅하는 것도 이 때문.)
이 두가지 방법으로 품질의 불확실성에 따른 예상 피해를 줄이려고 한다.

  소비자가 구입하기를 희망하는 양보다 더 많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회가 결정한 재화를 가치재(merit goods)라고 한다. 가치재로서 가장대표적인 것이 교육이다. 사회는 체재유지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더 많은 교육을 받은 사회구성원을 요구하지만 구성원들의 의지에 맡겨두면 사회가 희망하는 만큼의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회는 교육 서비스가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필요하므로 공공재원을 투입해서 더 많은 교육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가치재로 판단되는 재화는 공공지원으로 가격을 낮춰 소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예술에 대한 공공지원의 또 하나의 명분으로 작용한다.
  예술은 개인이나 사회에 꼭 필요한 '가치 있는 것' 이며 시장의 논리에 맡겨두면 그 가치에 걸맞는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지원하며 소비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공연예술 그 자체가 본질적인 존재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관극행위가 개인이나 사회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면 가치재로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

-발췌. 극장경영과 공연제작, 이승엽 저

반응형
반응형

Chanson du Pêcheur
ʃãsõ dy pεʃœʀ

Ma belle amie est morte Je pleurerai toujours!
ma bε -l-ami ε mɔʀtə ʒə plœʀəʀe tuʒuʀ
Sous la tombe elle emporte Mon âme et mes amours.
su la tõb ε -l-ãpɔʀtə mõ -n-am -e me -z-auʀ
Dans le ciel sans m’attendre, Elle s’en retourna.
dã lə sjεl sã matãdʀə εl sã ʀətuʀna
L’ange qui l’emmena Ne voulut pas me prendre.
lãʒə ki lãməna nə vuly pa mə pʀãdʀə
Que mon sort est amer!
kə mõ sɔʀ ε -t-amεʀ
Ah! sans amour s’en aller sur la mer!
a sã -z-amuʀ sã -n-ale syʀ la mεʀ
La blanche créature Est couchée au cercueil,
la blãʃə cʀeatyʀə ε kuʃe o sεʀkœj
Comme dans la nature, Tout me parait en deuil!
kɔmə dã la natyʀə tu mə paʀε -t-ã dœj
La colombe oubliée Pleure et songe à l’absent
la cɔlõ -b-ublije plœ -ʀ-e sõ -ʒa lapsã
Mon âme pleure et sent Qu’elle est dépareillée!
mõ -n-amə plœ -ʀ-e sãn kε -l-ε depaʀεje
Sur moi la nuit immence plane comme un linceul,
syʀ mwa la nɥi imãsə planə kɔ -m-ɛ̃ lɛ̃sœl
Je chante ma romance Que le ciel entend seul!
ʒə ʃãtə ma ʀɔmãsə kə lə sjεl ãtã sœl
Ah! comme elle était belle, Et combien je l’aimais!
a kɔm εl etε bεlə e kõbjɛ̃ ʒə lεmε
Je n’aimerai jamais Une femme autant qu’elle
ʒə nεməʀe ʒamε ynə fam o-tã kεlə

어부의 노래

나의 사랑하는 이가 죽어 나는 영원히 눈물 흘리리라.
나의 마음과 사랑을 가져간 그녀의 무덤 앞에서.
나를 기다리지 않고 그녀는 하늘로 돌아갔다.
그녀를 데려간 천사가 나는 데려가지 않았다.
얼마나 모진 운명인가.
사랑하는 이 없이 이 바다위를 항해 하는 것이.
하얀 여인이 관 속에 잠들어 있다.
마치 자연 속에서 처럼 모든 것이 내게는 비통하다.
잊혀진 비둘기가 떠나간 자를 그리며 울고있다.
짝을 잃어버린 나의 나의 영혼도 울고있다.
광활한 밤이 내 위에 수의처럼 펼쳐져있다.
나는 사랑의 노래를 부르고 하늘만이 홀로 듣는다.
아! 그녀가 얼마나 아름다웠던가, 그리고 내가 그녀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다른 어떤 여인도 그녀처럼 사랑할 수 없으리.

반응형

+ Recent posts